💊 부작용 없이 통증만 차단? — EP2 수용체를 겨냥한 새 진통 전략
❓ 왜 “통증만” 골라서 끌 수 있을까
진통제는 보통 통증과 염증을 함께 낮춥니다.
문제는 NSAIDs(이부프로펜·아스피린)처럼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자체를 억제하면 위장·신장·심혈관 위험이 커지고,
염증을 지나치게 눌러 회복이 늦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NYU가 이끈 최신 연구는 통증은 줄이되, 치유에 도움이 되는 염증은 그대로 두는 표적을 밝혔습니다.
그 열쇠가 PGE₂(프로스타글란딘 E₂) 수용체 중 EP2였습니다.
🧠 무엇을 ‘새롭게’ 밝혔나 — 한눈 요약
- 표적: 말초신경의 지지세포인 **슈반세포(Schwann cell)**에 있는 EP2 수용체
- 핵심 결과(마우스): EP2 만 선택적으로 막거나(유전자 침묵·길항) 국소적으로 차단하면
염증성 통증 반응이 사라지지만, 염증 자체는 정상적으로 진행됨 → 통증과 염증을 “분리” 가능성 입증. - 의미: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이 문제였던 기존 소염진통제의 한계를 보완할
새 진통 패러다임(통증만 OFF, 치유는 ON) 제시.
🔬 메커니즘 — EP2, 슈반세포, 그리고 통증 신호
PGE₂는 원래 통증·염증을 함께 높이는 물질로 알려져 왔습니다.
연구진은 슈반세포의 EP2 활성이 세포막 근처의 cAMP–PKA ‘나노도메인’을 통해
지속적 통증 과민(기계적 통각과민)을 유발하지만,
염증 해소 지연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동물·세포실험으로 확인했습니다.
즉, 통증 회로의 스위치가 EP2에 ‘국소적으로’ 달려 있다는 뜻입니다.
🧪 어떻게 입증했나(쉬운 설명)
- 국소 투여/유전자 침묵(AAV): 발바닥 등 한 부위에 PGE₂·길항제·shRNA를 국소 투여해
통증만 사라지고 염증 소견은 유지되는지 관찰. - 사람·마우스 세포 병행: 인간·마우스 슈반세포에서 EP2 신호를 켜/끄며 통증 관련 신호만 분리되는지 검증.
⚖️ 기존 진통제와 무엇이 다른가
구분 | 작동 방식 | 장점 | 한계/부작용 |
NSAIDs | COX 억제 → 프로스타글란딘 전체 ↓ | 통증·염증 동시 감소 | 위장·신장·심혈관 위험, 치유 지연 가능성 |
오피오이드 | 중추 수용체 작용 | 강력한 진통 | 의존·호흡억제 등 중증 부작용 |
EP2 표적(새 접근) | 슈반세포 EP2만 선택 차단 | 통증만 억제, 염증(치유) 유지 기대 | 현재 전임상 단계, 전신 투여 안전성 미확정 |
🩺 어디에 쓸 수 있을까(전망)
- 관절염·편두통 등 PGE₂ 매개 통증: 관절(무릎 등)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길항제가 유망(전신 부작용 최소화).
- 수술 후 통증: 회복에 필요한 염증은 유지하며 통증만 줄이는 전략 가능성.
- 치과·구강안면 통증: 연구진 합류자 중 구강암 통증 연구자 포함(연관 적응증 탐색 기대).
⚠️ 아직 사람 대상 대규모 임상은 시작 전 단계. 적응증·용량·투여경로(국소/전신)·장기 안전성 검증이 필수입니다.
🧭 왜 중요한가 — “통증=나쁜 것, 염증=나쁜 것”의 공식 깨기
염증은 손상 부위 복구·방어에 꼭 필요합니다.
기존 NSAIDs는 통증과 함께 염증까지 꺼서 회복 지연을 유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통증-염증 분리”**라는 개념을 실험적으로 제시해,
부작용 적고 치유 친화적인 진통제 개발로 이어질 발판을 놓았습니다.
📌독자 Q&A — 핵심만 콕!
- Q. 정말 ‘부작용 0’인가요?
아니요. “부작용 없이”는 이상적 목표를 의미합니다. 현재는 전 임상 성과로,
향후 임상에서 전신 부작용·면역 영향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Q. 왜 EP4가 아니라 EP2인가요?
과거 EP4가 주요 후보였지만 임상 성과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슈반세포의 EP2가 통증 지속에 핵심임을 더 정밀한 도구로 제시했습니다. - Q. 오피오이드를 대체할까요?
가능성은 있으나 적응증·효능·안전성 검증이 선행돼야 합니다. 만성통증·관절염 등 국소요법이 먼저 현실화될 전망입니다.
✅ 한 장 요약
- 무엇: 슈반세포 EP2를 막으면 통증만↓, 염증(치유) 유지
- 어떻게: PGE₂–EP2–cAMP/PKA 국소 신호 축을 차단해 통각과민 억제(동물·세포 데이터)
- 왜: NSAIDs의 부작용·치유 지연을 피할 새 진통 전략
- 상태: 전임상 단계(사람 대상 안전성/효능 검증 필요)
📚 참고 자료(원문)
- ScienceDaily. Scientists uncover how to block pain without side effects. (보도, 2025-09-26, 출처: NYU) ScienceDaily
- Nature Communications. Targeting prostaglandin E₂ receptor 2 in Schwann cells inhibits inflammatory pain but not inflammation. (게재 2025-09-25) dx.doi.org
이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려요!
다른 이야기들도 확인해 보실 수 있어요. 😊
© 2025 과학여행아재. 모든 콘텐츠는 창작물로 보호되며, 무단 복제 및 상업적 이용을 금합니다.
출처를 남기고 공유하는 것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 과학 지식 & 흥미로운 이야기 > 📰 오늘의 과학 뉴스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09월25일, 오늘의 과학 - 뇌 속 세균 분자가 잠을 조절한다? (0) | 2025.10.06 |
---|---|
25년09월24일, 오늘의 과학 - 버섯의 놀라운 진화 (0) | 2025.10.05 |
25년09월23일, 오늘의 과학 - 숨은 갈증이 불안을 키운다 (0) | 2025.10.05 |
25년09월22일, 오늘의 과학 - 스마트폰으로 하는 명상, 정말 효과 있을까? (0) | 2025.10.05 |
25년09월21일, 오늘의 과학 - 더 선명하고 안전한 핵의학 영상 (0) | 2025.10.04 |